meta 태그에는 name, content, http-equiv 3가지 속성이 있다.NAME //홈페이지 주제 //제목 //키워드 //요약설명 //제작자 //제작사 //웹책임자 //카테고리위치,분류 //제작도구 //메일주소 //메일주소 //파일이름 //제작일 //제작일 //위치 //배포자 //저작권 //이 문서도 긁어가고 링크된 문서도 긁어감 //이 문서는 긁어가지 말고 링크된 문서만 긁어감 //이 문서는 긁어가고 링크는 무시함 //이 문서도 긁지 않고 링크도 무시함 http-equiv //웹문서 언어 설정 //그림위에 마우스 오버시 이미지 관련 툴바 숨김 //60초 마다 새로고침 //캐쉬가 되지 않게 //최종 수정일 content="no-cache"> //캐쉬가 되지 않게"> //캐쉬 만료(파기)일 /..
Form은 HTML 페이지에서 값을 입력받고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태그이다. 가장기본이 되며 사용자의 입력처리를 위해서는 반듯이 사용되는 중요한 태그이므로 반듯이 익혀두자~ [기분구조] FORM 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TAG의 내부에 INPUT, SELECT, TEXTAREA 와 같은 태그를 조합하여 사용된다. FORM 태그의 속성 NAME :: 폼의 이름 (Javascript로 접근할때 사용된다) ACCEPT :: MIME TYPE을 콤마를 이용하여 구분 ACTION :: 폼을 전송받을 페이지주소 ENCTYPE :: 서버전송에 필요한 MIME TYPE 설정 METHOD :: 전송처리방법 설정 [GET / PUT / POST] TARGET :: 입력폼의 프레임명 FORM 내부태그의 종류 한줄 텍스트 암..
HTML 코드에서 보면 흔하게 볼수 있는 Table 태그는 표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태그이다. 아직까지 디자인에 Table를 사용하는 코더들이 많은데 이는 좋지않은 방법이지만 이글에서 예기할 주제는 아니니까 패스~ [기본구조] :: 표 시작 111 :: 표제목 :: 열제목 그룹 시작 :: 행 시작 열제목 :: 하나의 셀 :: 표 내용시작 내용 :: 하나의 셀 간단하게 테이블의 구조를 표현하면 이렇게 된다. THEAD 와 TBODY 는 자주생략되는데 생략하면 TBODY 가 있는것으로 해석되는것 (같더라~ ㅋ) 자주사용되는 기본속성 BORDER : 테두리의 두께 BORDERCOLOR : 테두리의 색상 CELLPADDING : 셀의 안쪽 여백 CELLSPACING : 셀간의 간격 BGCOLOR : 테이블..
Internet Explore Javascript Event BUTTON onbeforecut, onbeforeeditfocus, onbeforefocusenter, onbeforefocusleave, onbeforepaste, onblur, onclick, oncontextmenu, oncontrolselcet, oncut, ondblclick, ondragenter, ondragleave, ondragover, ondrop, filterchange, onfocus, onfocusenter, onfocusleave, onhelp, onkeydown, onkeypress, onkeyup, onlosecapture, nmousedown, onmouseenter, onmouseleave, onmousemov..
1. DTD란 무엇인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마크업 문서이다. 모든 마크업은 어떠한 형식을 따르는 문서인지 명시해주는 DTD(Document Type Definition)(문서형 정의) 가 존재해야한다. 마크업언어는 DTD를 명시하여 파서 마크업을 해석하게하며 문서검사기(validator)도 DTD를 기준으로 검사를 수행한다. 웹브라우저에서 HTML문서를 해석하기는 기준이되고 결과적으로 렌더링의 차이가 발생할수 있다. 마크업의 DTD를 먼저읽고 그 기준으로 마크업을 해석하므로 DTD는 항상 최상단에 존재해야만한다. ※ HTML 페이지가 원하는대로 나오지 않는다고 DTD를 주석처리하는 행위는 잘못된것임돠~ 2. DTD의 구성 DTD는 공개식별자 + 시스템 식별자로 구..
헝가리안 표기법 Microsoft의 개발자중 헝가리 사람의 프로그래머가 쓰던 변수 명명법으로 MS내부에서 따라쓰기 시작하던 것이 점차 전세계의프로그래머들에게 널리 퍼져 이젠 프로그램 코딩시 변수 명명의 표준적인 관례가 되었다. C#에서는 이러한 명명법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주로 윈도우즈 프로그래밍에 사용된다. 예) g_bTrue ※ 구성방법 :: 전역/멤버 _ 자료형 의미있는 이름 g는 전역변수, m은 멤버변수를 의미 b는 자료형중 Boolean형을 의미 True는 의미있는 이름이다. 예) nCnt 전역이나 멤버변수가 아니므로 g_ 나 m_ 가 없다. n과 i는 자연수를 뜻하며 i는 주로 인덱스를 n은 카운트를 목적에 주로 사용한다. 의미있는 이름이 길 경우에는 자음만을 사용한다. 파스칼 케이싱(Pas..
오픈소스는 쉽게 말해 소스코드를 공개 하여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하여 발전해나가자~ 뭐 이런 느낌입니다. 오픈소스라고 해서 무제한 사용이 가능한것이 아니라 지정된 라이센스에 따라서 저작권 보호도 되고 소스의 사용/복제/수정/배포의 제약이 있으므로 라이센스별 차이와 제한을 알고 사용해야할듯 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MIT 라이센스 완전편해요 >_< The Code Project Open License (CPOL)* 저작권 보호: 예 * 상용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가능: 예 * 버그 패치 및 기능 확장 제공의 의무: 아니오 * 명시적 특허권 행사 가능 여부: 예 * 사유 프로그램 (소스 비공개 프로그램)에서 사용 가능 여부: 예 * 라이센스 전파 여부: 아니오 The Common Development and D..
- Total
- Today
- Yesterday
- 먹는게 남는다
- 원어데이
- react
- 윈도우7
- ubuntu
- Flash
- 파이어폭스
- 버그가많아
- 지름신
- code
- 그리스몽키
- SQL
- 진례
- Linux
- 짬뽕
- 플스
- window7
- 창원
- Firefox
- 일식
- 불여우
- Mac
- 횟집
- html tag
- 인터넷 속도
- java
- 김해
- 마산
- 아이폰
-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